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확정일자와 꼭 같이 해야하는것 - 늦게 받은 세입자는 큰일난다고?? 요즘 전세사기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고 전세사기에 관련된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전세 세입자들은 불안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없습니다. 계약 후 혹시나 모를 사태에 대해 대비하기 위해 확정일자를 받아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으셨을것입니다. 오늘은 전세나 월세 같은 임대차 계약 후 확정일자 받는 방법과 받아야 하는 이유를 알려드리고 확정일자와 꼭 같이 해야 하는 것을 적어놓았으니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확정일자란? 확정일자는 계약서나 증서에 작성된 날짜가 법적 증거의 효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계약할 때 작성한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가 적힌 도장을 받음으로써 임대차 계약이 있었다는 걸 법적으로 인정해준다는 것입니다. 확정일자를 받는 것 자체로는 안전한 세입자가 될 수 있는 건 아닙.. 2022. 11. 4.
부동산시장론 주택시장 1. 부동산 시장 주택시장의 개념 주택은 토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상품으로써의 유통성이 낮다. 주택은 비교적 큰 상품으로써 생산을 위해서는 큰 자본이 소요되며 주택 가격도 비싼 것이 보통이다. 주택 공급의 비탄력적, 주택 수요의 필수적 성격 때문에 주택 시장은 항상 불완전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주택은 공공서비스의 필요성이 있으며 주택시장은 정부의 정책과 인근 지역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주택시장분석을 위한 개념 주택서비스 물리적인 측면에서 주택은 질적, 양적으로 이질적인 상품이다. 따라서 동질적 상품이 형성되기 어렵다. 이는 주택시장분석을 어렵게 하는 장애요인이 되므로 주택서비스의 개념을 도입하여 상품을 동질화시킴으로써 일반 경제이론의 수요 공급에 의한 주택시장분석을 가능하게 .. 2022. 11. 1.
부동산 시장론 부동산시장의기능 부동산 시장의 개념 시장이란 어떤 특정 장소라기보다는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사람들의 모임을 가리킨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보가 교환되고 그 결과로 상품이 매매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 시장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통 완전경쟁시장과 불완전경쟁시장으로 나누어 진다. 완전경쟁시장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제시된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시장참여자의 수 어떤 제품의 수요자와 공급자의 수가 많고 적음의 여부가 시장형태 구분의 한 요소이다. 그 수가 아주 많으면 완전경쟁시장이고 그 수가 적으면 불완전경쟁시장이다. 그러나 수요자와 공급자의 수의 기준은 없다. 경쟁시장과 비경쟁시장을 구분하는 기준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시장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가.. 2022. 10. 31.
부동산 중개수수료요율표와 계산기 새로 중개수수료가 개정이 되었어요. 부동산 계약하실때 중개수수료율을 계산해보시고 부당한 수수료를 요구하지 않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1천분의6 은 거래금액의 0.6%로 계산하시면되고 한도액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수수료에요. 2021.10.19 부터 시행된 한국공인중개사협회의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입니다. 지역사이트를 찾아보다보면 중개수수료요율을 게재한 사이트들이 많이 있어요. 서울 부동산중개수수료요율표 https://land.seoul.go.kr:444/land/broker/brokerageCommission.do 경기도 부동산중개수수료요율표 https://gris.gg.go.kr/reb/selectRebRateView.do 경기부동산포털 경기도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 안내 2021.10.19(화)부터 시.. 2022. 10. 27.